DAY 1 : Printing, Commenting, Debugging, String Manipulation and Variables
당분간은 Repl.it(https://replit.com/)이라는 통합 개발 환경을 사용해 파이썬 코딩을 할 예정이다.
온라인 상태에서 이용 가능하고 별도의 결제 없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.
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결제도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데 내 상황에선 필요한 기능은 아닌 듯.
1. 문자 출력하기_1
print("Something")
따옴표를 제대로 안 닫게 되면 오른쪽의 콘솔창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를 볼 수 있다.
잘 모르는 오류는 구글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. 역시 세상은 아직 따뜻한가 봄.
2. 문자 출력하기_2
print("print('what to print')")
따옴표를 출력하고 싶을 땐, 작은 따옴표를 사용한다.
만약, print("print("what to print")")라고 쓴다면 오류가 발생함. " " 사이에 있는 걸 문자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.
3. 줄 바꿈
줄 바꿈(개행)을 하고 싶다면 한 줄마다 print(" ")를 쓰지 않고 \n을 사용한다.
4. 문자열 사이 공백
문자열 사이에 공백을 주고 싶으면 공백 자체를 하나의 문자열로 사용한다.
혹은 앞 문자 맨 끝에 공백을 주거나 뒷 문자 맨 앞에 공백을 줄 수도 있다.
파이썬에서는 공백 처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.
불필요하게 공백이 (실수로) 들어가게 되면 오류가 날 수도 있기 때문!
DAY 1.2: Debugging Excercise
+ Debugging Excercise 완료
5. 입력 함수
input("A prompt for the user")
단어를 출력하는 대신 단어를 입력 받는 input( ) function
" " 안에 입력값을 요구하는 힌트를 적는다.
위와 같이 콘솔에 힌트가 나오고 입력할 수 있는 커서가 생긴다.
값을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야 코드 실행이 정지한다.
print 함수와 조합해서도 사용 가능.
입력할 수 있는 커서에 답을 하면
미리 적어둔 문자열과 합쳐져서 출력이 된다.
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과정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Thonny IDE(https://thonny.org)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.
6. 주석 처리
# 기호를 붙이면 주석 처리가 가능하다.
코드 위에 주석을 달아 아래의 코드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적어 두는 습관을 추천한다.
본인의 기억을 되새기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고, 내가 짠 코드를 누군가가 보았을 때 이해하기 더 쉬워질 거다.
이미 작성한 행을 단축키를 이용해 주석 처리 할 수도 있다.
해당 행을 드래그 한 뒤, Mac 기준 Command + / 을 누르거나 Win 기준 Ctrl + / 로 가능하다.
취소는 각각 Command + z, Ctrl + z 로 할 수 있다.
Day 1.3: Inputs Excercise
Input 함수에 어떤 단어를 입력하면
입력된 문자열의 길이를 count해서
그 수를 출력하는 미션!
글자수를 세는 함수를 몰라서 구글링을 했다.
그 결과 len( )이라는 새로운 함수를 알았다.
함수 안에 또 다른 함수가 들어갈 수 있다. 긴장했는데 생각보다 쉽게 풀렸다. 휴ㅎㅎㅎ
7. 파이썬 변수
name = "Jay"
등호 기호를 이용해 Jay라는 문자열을 name이라는 변수에 값으로 할당했다.
이후에 이 데이터가 필요하다면 name이라는 변수를 호출하면 된다.
위에서 했던 문자열 길이 파악 프로세스와 결과는 동일하지만, 우리는 name과 lenth 변수를 언제든지 호출할 수 있게 되었다.
Day 1.4: Variables Excercise
(tmi) 위에 이미 a와 b 변수에 값을 할당했다는 신경 못 쓰고 직접 작성해서 입력창이 두 번씩 나왔다ㅋㅋ
a와 b를 🥛와 ☕️가 든 잔으로 생각해 보라고 선생님께서 팁을 주셨다.
잔은 그대로 두고 내용물만 크로스 하는 것이다. 우유를 먼저 비우든 커피를 먼저 비우든 다른 잔이 필요했다.
그 잔이 변수 c다. 선생님이 비유를 찰떡 같이 해 주셔서 해결할 때 많은 도움이 됐다.
8. 변수 이름 짓기
사실 마음대로 지어도 되지만 훗날 펼쳐 봤을 때 뭐인지 모르면 안 되니까ㅎㅎ
따라서 변수 이름은 직관적인 것이 좋다. 아! 언더 바를 통해 여러 단어를 붙일 수 있다.
변수 이름에 숫자가 첫 글자로 들어가거나 공백으로 구분하는 건 안 된다.
user_name = input("What is your name? ")
9. 밴드명 생성기 만들기
이름과 반려동물 이름을 입력 받아서 그 값을 붙여서 출력하는 프로젝트이다.
힌트(?) 혹은 지침은 아래와 같다.
아... 할 수 있을까😇
뭘 어떡해. 그냥 하는 거지.
1일차 공부 끝!
'파이썬 코딩 100일 도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0309 파이썬 코딩 100일 도전 시작! (0) | 2022.03.09 |
---|